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책

모로코 정세

  1. 정책
  2. 모로코 정세
  • 글자크기

모로코 정세 및 경제 동향 (2.7.-2.13.)

작성자
주 모로코 대사관
작성일
2025-02-14

1. 대외관계

 

  1)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련

 

   가자지구 주민 모로코 이주설 관련 모로코 반응

 

    o 이스라엘 언론에서 가자지구 주민들의 새로운 정착지로 모로코를 거론한 것과 관련모로코 언론들은 근거없는 소문이라고 동 주장을 일축함.

 

      - 이와 관련 모로코 당국의 직접적인 대응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Nasser Bourita 모로코 외교장관은 2.8.() Fuad Hussein 이라크 외교장관과의 면담 후 발표한 성명에서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 설립을 지지한다는 기존의 원론적인 입장을 재확인

 

   이스라엘 방산기업 전문가들 방모 관련 보도

 

    o 모로코 언론은 이스라엘 방산기업 IAI社 대표단이 최근 며칠간 모로코 내 이스라엘 드론 제조 시설*을 시찰 및 감독하기 위해 모로코에 방문했다고 보도함.

 

      이스라엘 방산기업 IAI社가 지분을 보유한 BlueBird Aero Systems社는 2023.4월 모로코 내 자사 드론 생산 공장이 이미 완공되었다고 발표

 

      - 아울러 동 언론은 가자지구 내 휴전 협정 체결이 마무리됨에 따라 향후 몇달간 이스라엘 고위 관리 및 방산 전문가들이 모로코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보도

 

   모로코군이스라엘 자주포 시스템 Atmos 2000 공급 계약 체결(2.8.)

 

    o 프랑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모로코군은 이스라엘 방산기업 Elbit System社과 36대의 Atmos 2000 자주포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짐.

 

      - 모로코군은 기존에 프랑스 방산기업 KNDS France社로부터 2022년 Caeser 자주포를 인수하였으나인수 직후부터 시스템에 반복적인 문제가 발생했음에도 KNDS社측은 이와 관련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아 일부 시스템은 현재까지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보도

 

    o 모로코 언론들은 이와 관련모로코의 군사전략적 파트너로서 이스라엘의 역할이 커지고 있으며, 2024년 모-프랑스간 예외적 동반자 관계 체결에도 KNDS社의 기술적 문제와 지연 대응으로 인해 모측이 대안 공급업체를 모색하기로 결정했다고 평가함.

 

  2) 모로코 의회아프리카 대서양 국가 의회 회의 개최(2.6.)

 

   o 모로코 의회는 2.6.(라바트에서 모로코의 '아프리카 대서양 국가프로세스(PEAA)' 논의를 목적으로 아프리카 대서양 국가 의회 회의를 개최하고 서아프리카 18개국 국회의장 등 고위인사*들의 참석하 아래 요지의 라바트 선언을 서명·발표함.

 

     * 모리타니아나이지리아세네갈가나, DR콩고콩고공화국코트디부아르베냉가봉감비아기니적도기니라이베리아앙골라카메룬카보베르데토고상투메프린시페

 

        - 모리타니아는 2023년 대서양 이니셔티브가 발표된 이래 관련 행사에 참여하지 않아왔으나금번 행사에 최초로 참석

 

     - 대서양 연안의 경제 통합사회 번영국제 투자 유치 등을 목표로 하는 모로코의 아프리카 대서양 국가프로세스(PEAA)를 환영

 

     - 아프리카의 풍부한 자원과 젊은 인구가 가지는 잠재력과 더불어테러분리주의기후변화경제적 격차 등의 도전과제를 인식

 

     - PEAA는 모로코-나이지리아 가스관 연결 프로젝트, ▲사헬국가들에 대한 대서양 접근 제공 이니셔티브 등과 연계되어 대서양 연안 아프리카 23개국의 잠재력 개발을 통해 지정학적 과제 해결운송 인프라 연계무역 활성화고용 창출 등을 목표로 진행될 것

 

     - 서명국들은 주권 존중평화적 분쟁 해결아프리카 연대 강화에 입각하여 PEAA에 대한 전세계의 인정과 투자를 촉구  

 

     - 의회 네트워크를 활용한 담당 사무국 설립을 통해 PEAA의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것

 

     - 아프리카의 경제 통합 진전에 모로코의 리더십을 인정하고 '아프리카에 대한 아프리카의 신뢰원칙하 아프리카의 자립 재확인  

 

  3) 모로코 외교장관이라크 외교장관과 면담(2.8.)

 

   o Nasser Bourita 모로코 외교장관은 2.8.() Fuad Hussein 이라크 외교장관과 라바트에서 면담하고아래 요지의 성명을 발표함.

 

     - -이라크 양국 관계 강화를 위해 양국간 경제 투자 장려, ▲-이 공동위 개최, ▲양국 기업인간 모-이 경제 포럼 개최외교 여권 소지자에 대한 상호 비자 면제에 합의

 

     - 팔레스타인 문제와 관련역내 당사자들간 지속 협의 조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 설립에 대한 팔레스타인인들의 권리 지지를 재확인

 

     - 시리아 상황과 관련시리아의 영토보전과 주권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모든 시리아인을 아우르는 국가적 단결의 틀안에서 시리아의 안정과 평화를 기원

 

     - 이라크는 예루살렘의 문화적종교적 정체성과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모로코의 노력과 팔레스타인 지원을 위해 기울이고 있는 모하메드 6세 국왕의 지원에 사의 표명

 

     - 이라크는 모로코의 영토일체성에 대한 변함없는 지지와 서부사하라 분쟁 해결에 있어 모로코 자치안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 추세를 환영

 

  4) 미 국제개발처(USAID) 국제 원조 동결 관련 모로코 반응

 

   o 모로코 언론들은 미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USAID의 국제 원조 동결을 비롯 USAID 자체를 해체시킬 가능성이 제기되며모로코 내 다수의 NGO가 프로그램 자체 폐지 혹은 급여임대료 지급이 불투명한 재정 위기에 놓였으며특히 Al Haouz 지진 피해 지역 대상 재건 프로그램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강조함.

 

  5) Hussein Al Sheikh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사무총장공식 SNS 계정(X)을 통해 이스라엘 내 팔레스타인 동결 자산 동결 해제에 도움을 준 모로코 정부에 사의 표명(2.10)

 

  6) 모로코 내무부 장관스페인 내무부 장관 면담(2.10.)

 

   o Abdelouafi Laftit 모로코 내무부 장관은 2.10.() Fernando Grande-Marlaska 스페인 내무부 장관과 마드리드에서 면담한바양국 장관은 불법 이민인신매매 대응 및 대테러 활동에 있어 양국간 협력과 그 결과에 만족감을 표하고, ▲2030 월드컵 조직을 위한 상호 협력 의사를 확인하는 한편, ▲Al Haouz 지진 이후 스페인의 재난 지원과, Valencia 지역 홍수 발생 후 모로코의 구조 지원이 보여준 양국간 연대와 헌신의 정신을 강조함.

 

  7) 모로코 총참모부장미 합참의장과 유선 협의(2.10.)

 

   o Charles Brown 미 합참의장은 SNS 공식계정(X)을 통해 2.10.() Mohammed Berrid 모로코 총참모부장과 유선 협의에서 마그레브와 사헬 지역 내 안보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으며모로코는 미국의 최고(最古동맹국 중 하나로 양국은 안보적 도전과제에 맞서 상호 협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발표함.

 

 2. 경제

 

  1) 스웨덴 패션 기업 H&M, 모로코 내 생산 공장 설립 검토 중

 

   o 모로코 언론들은 스웨덴 패션 기업 H&M이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수입품 대상 관세 인상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역내 공급망 재편의 일환으로 모로코내 H&M 생산 공장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함.

 

  2) IMF, 2025년 모로코 경제 전망

 

   o IMF는 농업 부문이 2024-2025년 동절기 가뭄의 영향에서 일부 회복되고 비농업 부문이 강력한 내수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한편인플레이션 또한 약 2%대에서 안정화 될 것인바모로코 경제성장률을 2024년 3.2%, 2025년 3.9% 성장을 전망함.

 

     - 노동 시장이 높은 실업률로 인해 어려움에 직면해 있으며지정학적 긴장과 기후 변화로 인한 리스크가 상존함을 지적

 

  3) 뮌헨안보보고서 2025, -중국 통상 관계 유지·확대

 

   o 뭰헨안보보고서 2025는 2020-2024년간 미, EU, 인도 등 주요 경제권들이 對중국 무역 제재를 가했음에도 모로코는 나이지리아튀르키예브라질 등과 함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어떠한 제재도 부과하지 않아 인프라재생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중국의 對모로코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나對중국 무역 개방은 중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국내 산업 역량 약화로 인한 장기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분석함.

 

  4) 모로코 산업통상부 장관그린 모빌리티 전략 발표(2.11.)

 

   o Ryad Mezzour 산업통상부 장관은 2.11.(카사블랑카에서 개최된 Green Impact Expo & Summit에서 원자재부터 최종 조립까지 완전한 전기자동차 제조 역량을 갖춘 유럽-아프리카 지역 내 유일한 국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그린 모빌리티 전략을 발표함.

 

     - 동 전략은 모로코 내 인산염과 코발트 채굴부터 전기차 조립 생산 역량까지 갖추어 2030-2032년까지 자동차 수출을 3배 늘림과 동시에 자국내 전기 대중교통 확대를 위해 전기 버스 7,000대 조달을 목표로 설정

 

  5) 국제투명성기구(TI) 발표 2024 부패인식지수(CPI), 모로코는 180개국 중 99위로 전년 대비 두단계 하락 2018년 73위 대비 26단계 하락

 

     * 대한민국 30, 일본 20영국 20프랑스 25, UAE 25미국 28이스라엘 30위 등

 

  6) 모로코 철도청(ONCF) 관련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철도망 유지보수열차 구매철도 안전 개선 등에 활용될 모로코 철도청(ONCF) 발행 채권 Green Bond에 4억 디르함(약 3,840만 유로투자 합의(2.12.)

 

   스페인 정부모로코 철도청(ONCF)의 신규 열차 구매 지원 목적 78억 디르함(약 7억 5,000만 유로대출 승인 (2.11.)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