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책

모로코 정세

  1. 정책
  2. 모로코 정세
  • 글자크기

모로코 정세 및 경제 동향 (1.31.-.2.6.)

작성자
주 모로코 대사관
작성일
2025-02-10

 1. 대외관계

 

  1) 모하메드 6세 국왕 성명

 

   모하메드 6세 국왕성명을 통해 미 워싱턴DC에서 발생한 여객기-군용 헬기 충돌 사고(1.29.)의 피해자와 유가족들에 애도 표명(1.31.)

 

   모하메드 6세 국왕성명을 통해 Ahmed Al Sharaa 시리아 과도정부 임시 대통령의 취임을 축하하고시리아의 영토보전과 주권을 지지하는 모로코의 입장을 재확인(2.4.)

 

  2) 모로코 외교장관예멘 외교장관과 제6차 모로코-예멘 공동위 주재(1.31.)

 

   o Nasser Bourita 모로코 외교장관은 1.31.(라바트에서 제6차 모로코-예멘 공동위 참석한 방모한 Shayea Mohsen Al-Alzindani 예멘 외교장관과 면담한바주요 내용 아래와 같음.

 

     (6차 모로코-예멘 공동위 결과)

 

     - ▲양국간 운전면허 상호 인정, ▲수자원 관리, ▲육로 및 해상 인프라 분야 기술 교류 등 협력 강화를 골자로하는 7개 협정에 공동 서명

 

     - 예맨은 서부사하라 문제와 관련모로코 주권과 영토일체성을 지지해온 예멘의 입장을 재확인하고모로코 자치안을 현실적이고진지하고신뢰가능한 해법이자 역내 인위적인 분쟁 종식을 위한 기반으로서 지지함을 표명

 

     - 예멘은 사헬국가 대상 대서양 접근 제공 이니셔티브, ▲대서양 아프리카 국가 프로세스, ▲나이지리아-모로코 가스관 연결 프로젝트 등  모로코가 對아프리카 우호 이니셔티브를 환영

 

     - 모로코는 예멘대통령리더십위원회(PLC)의 헌법적 정당성과, ▲예멘의 영토일체성주권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예멘 내정에 국외 세력의 개입을 거부

 

     - 모로코는 팔레스타인 내 평화를 지지하고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면서 서안지구와 가자지구가 그 영토의 일부로 인정되는 두국가해법에 기초한 정치적 해법 도출을 위해 역내 및 국제 행위자들의 조율이 필요함을 강조

 

     (양국 외교장관 공동 기자회견)

 

     - 모로코는 유엔 안보리 결의(2216호 포함)을 준수하여 예멘의 주권과 영토일체성을 보전하는 지속가능한 정치적 해법 모색을 통한 예멘 위기 해결을 강조

 

     - 모로코는 예멘에 대한 모든 타국의 간섭을 거부하고 특히예멘의 주권을 훼손하고불안정을 조장하며영토일체성과 국가적 통일을 위협하는 후티민병대에 대한 이란의 지원을 거부

 

     - 예멘은 사우디와 오만의 중재를 통해 2023년 채택된 예멘 평화 합의 로드맵이행에 전념하여 경제적인도적인 위기를 해결하고 정치적 해결책으로 나아가는 길을 열었으나유감스럽게도 후티민병대의 홍해 항해 위협 공격 강화로 동 로드맵 이행이 방해받고 있다고 첨언

 

     - 예멘은 특정 지역내에서 일어난 변화가 후티 민병대의 주요 지원책인 이란과 그 주변 국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대한바일부 국가에서 후티 민병대를 테러단체로 분류하는 것은 후티 민병대로 하여금 정치적 해법이 예멘 내 위기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임을 깨닫게 하고 관련 국제 결의를 존중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강조

 

  3) -스페인 관계 관련

 

   . Jose Manuel Albares 스페인 외교장관스페인 보수 야당 PP에 모-Ceuta, -Melilla 세관 개방 관련-스페인간 완전히 보장된 협의를 토대로 세관 개방이 불가역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발언(2.3.)

 

   . Fernando Grande Marlaska 스페인 내무부 장관새롭게 개설된 Melilla 국경 검문소를 방문 시찰하고모로코가 테러와 조직범죄 대응에 있어 전략적 파트너이자 우호적인 형제 국가라고 발언(2.5.)

 

   스페인 언론모로코 대외정보국(DGED) 소속 요원 정치적 망명 신청 보도(2.2.)

 

    o 스페인 언론은 모로코 대외정보국(DGED) 소속 요원 Mehdi Hijaouy가 스페인으로 정치적 망명을 신청하여 현재 스페인 정보기관(CNI)의 보호를 받으며 마드리드 교외에 있다고 보도함.

 

      - 스페인 언론은 동 인물이 DGED내 서열 2위라고 언급하였으나 모로코 언론은 동 인물이 이미 15년 전에 심각한 직업적 위법 행위로 해고되었다고 보도

 

  4) 과테말라 외교부 차관서부사하라 관련 모로코 자치안 지지 표명(2.4.)

 

   o Monica Bolanos 과테말라 외교부 차관은 2.4.(라바트에서 Nasser Bourita 외교장관과 면담하고 서부사하라 문제에 대한 정치적 해법 모색을 위한 모로코의 노력에 대한 과테말라의 확고한 지지를 재확인함.

 

     - 아울러 과테말라는 모로코 자치안을 모로코의 영토일체성과 주권을 존중하는 틀 내에서 서부사하라 문제를 해결하는 현실적이고 신뢰가능하고 진지한 하나의 기반(une base)로 간주한다고 표명

 

 2. 국내정세

 

  1) 모로코 연정 여당 고위간부 간 회의 진행(1.29.)

 

   o 모로코 연정 여당 당대표 및 고위간부들*은 1.29.(정부-여당간 협력 강화 방안 및 국제 정세를 논의하는 회의를 진행함.

 

     * Aziz Akhannouch 정부수반 겸 독립국립연합당(RNI) 대표, Mustapha Baitas 정부 대변인(RNI소속), Fatima Ezzahra El Mansouri 국토·도시계획·주거·도시정책부 장관(PAM소속), Mohamed Mehdi Bensaid 청년·문화·통신부 장관(PAM소속), Nizar Baraka 설비수자원부 장관(PI소속

 

     - 연정 대표들은 가자지구 내 휴전 협정 발표를 환영하고 국제사회가 역내 평화와 안보안정을 보장할 수 있는 팔레스타인-이스라엘 간 지속가능한 정치적 해법을 지지할 것을 촉구

 

       · 모든 공격과 점령행위 중단팔레스타인인들의 정당한 권리 존중피해 지역 재건 촉구

 

       · 모로코가 예루살렘의 역사적종교적 정체성 보존과 팔레스타인인들의 정당하고 역사적인 권리 존중으로 말미암아 팔레스타인 대의에 우호적인 노력을 쏟고있음을 강조

 

     - 가족법 개정을 비롯한 제반 사회구조적 개혁을 환영하고일자리 창출 및 실업 대응 목적의 新고용 로드맵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

 

     - 계속되는 경제적인 도전에도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인 수준임을 환영하고금년 3월 시작 예정인 라마단 기간을 앞두고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임을 표명

 

  2) 파업법 개정안 최종 승인 및 모로코 노조 총파업 및 항의 지속

 

   o 모로코 상원 교육·문화·사회 위원회는 1.31.(기존 하원에서 통과된 파업법 개정안을 찬성 10반대 5표로 통과 시킴.

 

   o 모로코 하원은 2.5.() 2차 표결을 통해 파업법 개정안을 찬성 84반대 20표로 통과시킨바 하원 1차 투표-상원 투표-하원 2차 투표를 거쳐 동 개정안이 최종 승인됨.

 

     - 그러나 동 표결은 하원의원 395명 중 291명이 불참한 가운데 진행되어 날림 통과라는 비판을 받는 중

 

   o 모로코 노동조합(UMT), 민주노동연합(CDT), 민주노동조직(ODT), 민주노조연합(FSD) 등 모로코 내 주요 노조는 파업권 개정안 통과를 고집하는 정부의 전제주의(Despotisme)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2.5.()-6.(양일간 전국 총파업을 실시함.

 

     - 노동자의 구매력 저하를 고려하지 않고 사회적 대화를 없이 상하원 내 수적 다수결에 의지해 민주주의의 토대와 규범헌법적 권리를 무시하는 파업법 개정안을 비판

 

  3) Aziz Akhannouch 모로코 정부수반모로코 상원에서 "7년간 가뭄에도 토마토가 여전히 판매된다는 데에 신에게 감사해야"한다는 발언으로 여론의 비판을 받는중(2.4.)

 

 3. 경제

 

  1) 모로코군 드론 구매 관련

 

   튀르키예 드론 제조업체 Baykar모로코에 드론 생산 공장 설립 예정

 

    o 모로코와 튀르키예 언론들은 튀르키예 드론 제조업체 Baykar社가 모로코 라바트에 자회사인 Atlas Defense社 설치를 완료했으며모로코 내 드론 설계생산 공장을 설립할 예정이라고 보도함.

 

    o 모로코 군사 포럼 Forum Far-Maroc는 2.3.() SNS 계정(페이스북)을 통해 모로코군이 Baykar社 대표 드론 모델인 Akinci 드론을 인수하였다고 보도

 

   모로코 언론모로코군이 공군력 강화의 일환으로 중국 방산업체 Sichuan Tengden社의 드론 TB-001 인수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보도

 

  2) 모로코 고용기능부 장관농촌 지역 실업 문제 대응에 10억 디르함 투입 발표

 

   o Younes Sekkouri 포용경제·소기업·고용기능부 장관은 1.28.(모로코 의회에서 농촌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한 농촌 지역 개발에 10억 디르함을 투입할 예정으로 이는 2025년 140억 디르함(약 14억 달러)의 예산을 배정한 정부의 실업률 대응의 일환이라고 발표함.

 

  3) 그린수소 개발 동향

 

   o 모로코 언론들은 모로코가 국제 표준보다 낮은 1kg 당 2달러의 가격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할 것이라는 야심찬 정책 목표를 설정하였으나 이는 비현실적이라고 비판함.

 

     - ▲현재 그린수소 표준 가격이 5-10달러인 점, ▲그린수소 생산에 소요되는 재생에너지원 전기 생산 비용이 50달러MWh인점, ▲현재까지 모로코 내 그린수소 관련 시범 프로젝트가 전무한 점을 들어 실제 기후 조건과 산업 역량에 따른 현실적인 그린수소 정책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고 지적

 

  4) 모로코 풍력발전 용량 2,373MW 달성(2.3.)

 

   o Leila Benali 에너지전환·지속가능개발부 장관은 2.3.(하원에서 2024년 말까지 모로코 내 풍력 발전 용량이 2,373MW를 도달하였으며 2027년까지 360억 디르함 투자를 통해 2.6GW의 풍력 발전 용량 추가를 계획하고 있다고 언급함.  

 

  5) 모로코 2025.1월 관광객, 120만명으로 월집계 사상 최고 기록 달성작년 동기 대비 27% 성장한 수치로 집계

 

  6) 모로코 5G 도입 관련

 

   o 모로코 언론들은 모로코 내 5G 도입과 관련기존 모로코 내 Maroc Telecom, Orange Maroc 등 통신사와 기 협력 관계가 있는 중국 Huawei社가 담당 업체로 선정되는 것이 유력하나, 5G 사업 수주 경쟁에 Oracle, Nokia, Ericsson社 등 미유럽 기업 또한 참가의사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함.

loading